분류 전체보기63 2020 정보처리기사 (3장. 데이터 입출력 구현) 데이터 모델의 개념 데이터 모델: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,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- 현실 세계를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는 중간 과정, 즉 데이터 베이스 설계과정에서 데이터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능적 도구이다. - 데이터 모델 구성 요소: 개체, 속성, 관계 - 데이터 모델의 종류: 개념적 데이터 모델, 논리적 데이터 모델, 물리적 데이터 모델 - 데이터 모델에 표시할 요소: 구조, 연산, 제약 조건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개체: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으로,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속성: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로서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한다. 관계: 개체.. 2020. 10. 5. 2020 정보처리기사 (2장. 요구사항 확인) 현행 시스템 파악 시스템 구성 파악 : 현행 시스템의 구성은 조직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 업무로 구분하여 기술한다. 시스템 기능 파악 : 현행 시스템의 기능은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 주요 기능과 하부 기능, 세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한다.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 : 현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, 형식, 프로토콜, 연계 유형, 주기 등을 명시한다. -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주고받는지, 통신규약은 무엇을 사용하는지, 연계 유형은 무엇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. 아키텍처 구성 파악 : 현행 시스템의 아키텍처 구성은 기간 업무 수행에 어떠한 기술 요소들이 사용되는지 최상위 수준에서 계층별로 표현한 아키.. 2020. 10. 4. 2020 정보처리기사 (11장.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) 소프트웨어 패키징 : 모듈별로 생성한 실행 파일들을 묶어 배포용 설치 파일을 만드는 것 - 개발자가 아니라 사용자를 중심으로 진행한다. - 소스 코드는 향후 관리를 고려하여 모듈화하여 패키징한다. -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될 환경을 이해하여, 다양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배포 형태로 패키징한다. - 사용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작업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실행 환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한다. 패키징 시 고려사항 -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, 즉 운영체제, CPU, 메모리 등에 필요한 최소 환경을 정의한다. - UI는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자료와 함께 제공하고 매뉴얼과 일치시켜 패키징한다. - 하드웨어와 함께 관리될 수 있도록 Managed.. 2020. 10. 2. 2020 정보처리기사 (10-2장.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) 관계형 데이터 모델: 데이터를 테이블 또는 릴레이션의 구조로 표현하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관계형 데이터 구조 : 릴레이션-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는 데이터를 원자 값으로 갖는 이차원의 테이블로 표현하는데, 이를 릴레이션이라 한다.- 릴레이션의 구조는 물리적인 저장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논리적 구조이므로 다양한 정렬 기준을 통하여 릴레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.- 릴레이션은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.- 릴레이션의 열을 속성이라 하고, 행을 튜플 이라 한다.- 릴레이션에서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잇는 같은 타입의 원자 값들의 집합을 도메인이라고 한다.* 디그리(Degree) = 속성의 수 = 차수 * 카디널리티 = 튜플의 수 = 기수키의 개념 및 종류 .. 2020. 9. 29. 2020 정보처리기사 (10-1장.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) 운영체제의 개념 :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효율적으로 관리하며,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 -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,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준다. 운영체제의 목적 : 처리 능력 향상, 사용 가능도 향상, 신뢰도 향상, 반환 시간 단축 - 처리능력: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- 반환 시간: 시스템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- 사용 가능도: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- 신뢰도: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운영체제의 기능 - 프로세서 기억.. 2020. 9. 28. 2020 정보처리기사 (9장.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)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: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하여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일련의 보안 활동을 의미 -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은 데이터의 기밀성, 무결성, 가용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Secure SDLC : 보안상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SDLC에 보안 강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한 것을 의미 * 보안 요소 - 기밀성: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됩니다. - 무결성: 시스템 내의 정보는 오직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. - 가용성: 인가받은 사용자는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- 인증: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을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합법적인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모든 행위를 .. 2020. 9. 23. 이전 1 ··· 4 5 6 7 8 9 10 11 다음